건강, 운동, 다이어트 정보

담배가 몸에 안 좋은 이유! 금연 합시다.

반응형

금연을 하기로 다짐했는데 어느새 다시 피고 있네요. 운동은 꾸준히 하고 있고, 식단도 잘 조절하고

책도 많이 읽고 있는데.. 담배.. 이 담배는 유독 잘 안 끊어지네요. ㅠㅜ

금연을 확실히 하고 싶어 담배가 우리 몸에 얼마나 나쁜지 직접 찾아보고 경각심을 가져보기로 했습니다.

 

담배 끊으신 분들 모두 존경합니다. 정말이에요.ㅠㅜ

저희 아버지도 담배를 피우시다가 몸이 안좋으셔서 끊으시긴 했는데

저는 건강할 때 끊어보려 합니다. 모두 제가 담배 잘 끊을 수 있도록 응원 좀 부탁드려요.

 

자 그럼 지금부터 담배가 몸에 얼마나 나쁜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담배가 몸에 안 좋은 이유!

모두들 담배가 몸에 나쁜건 잘 알고 계실 겁니다.

초등학교 때부터 보건 시간이나 가정 시간 혹은 체육시간에 담배 관련 영상을 많이 본 것 같아요.

그렇지만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ㅠㅜ

 

담배에는 발암물질과 유해성분이 많다고 합니다.

담배연기에는 약 40여 가지의 발암물질이 있으며 4000여 종의 유해 물질도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 성분들이 포함된 담배연기가 몸속으로 들어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고 해요.

우선 담배를 피우면 담배 연기가 입안으로 들어와 구강의 온도를 높이고 침을 마르게 합니다.

마른 입안은 세균과 충치가 잘 자라고 치태가 발생하기 쉽다고 해요.

그리고 이 치태는 굳어 치석이 되고 이 치석은 잇몸과 치아 뿌리까지 침투해 잇몸을 파괴한다고 합니다.

 

또한 담배연기는 구강과 점막으로 흡수되는데, 흡수된 담배연기 속 유해물질들이 염증을 유발하거나

침을 분비하는 침샘을 손상시킨다고 합니다.

즉 담배연기는 치주질환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고 해요. ㅠㅜ

 

그리고 담배연기는 이미 발생한 치주질환의 치료도 방해한다고 합니다.

잇몸과 구강점막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구강 내 상처 회복을 느리게 만드는 것이죠.

치주질환만 문제가 아닌 게 담배를 피우면 입냄새가 심하다고 해요.

담배를 피우면서 건조해진 입안과  각 종 염증, 상처, 치석 등이 입냄새가 심하도록 만든다고 합니다.

 

담배에 포함된 독성물질과 발암물질이 입안에 암 혹은 폐에 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즉 악성종양이나 양성종양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고 해요. 암 정말 무서운 질병이죠. ㅠㅜ

담배연기에 포함된 니코틴과 일산화탄소도 건강에 정말 많은 악영향을 끼치는데요.

우선 니코틴은 말초 현관을 수척시켜 혈액순환을 방해하고 혈압을 높인다고 합니다.

혈압이 높은 사람들은 절대 담배를 피우면 안 되겠네요.

또한 니코틴은 에스트로겐을 감소시키는데요.

에스트로젠 수치가 낮아지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피부 노화가 빨리 와 늙어 보이게 된다고 해요.

 

담배연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는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을 저하시켜 몸을 피곤하고 지치게 만든다고 합니다.

특히나 니코틴은 담배를 피울수록 몸에 축척되어 정말 안 좋다고 해요.

ㅜㅠ 얼른 끊어야겠습니다.

 

그리고 담배에서 제일 나쁜 성분인 타르 타르에 대해서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담배 연기에는 타르라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타르란 석탄에서 만들어진 끈끈하고 검은색의 액체로서 일종의 화학물질 복합체인데요.

타르가 담배에 들어가서 타르를 담배진이라고도 합니다.

타르 속에는 수천여 가지의 독성 화학물질, 30여 가지의 중금속, 각 종 발암물질을 포함하고 있다고 해요.

 

담배를 피울 때 타르는 폐에서 혈액으로 스며든다고 해요.

그리고 혈액으로 스며든 타르는 세포와 장기들을 조금씩 손상시키고 암을 유발한다고 합니다.

 

타르 또한 니코틴처럼 조금씩 체내에 축척되는데요.

담배 한 갑을 피울 때에 신체로 들어오는 타르의 양은 대략적으로 10mg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게 몸에 조금씩 조금씩 축척이 된다면... ㅠㅜ

제 몸에 지금 얼만큼의 타르가 있을지는 모르지만 얼른 끊어야겠습니다.

구강과 신체에 정말 안 좋은 담배! 같이 끊어봐요 우리!

혹시 담배를 피우고 계시다면 말이죠.

금연을 시도하시는 모든 분들 파이팅입니다!

 

 

 

반응형